
빅오 표기법 (Big - O Notation) 입력값의 변화에 따라서 연산을 진행 할 때 연산 횟수에 따라 수행시간이 얼마나 걸리는가? 입력으로 들어오는 데이터의 수를 변수로 놓았을 때 알고리즘 내부적으로 수행되는 연산의 총 합을 계산식으로 표현 상수는 없애고 가장 차수가 높은 항을 택함 빅오메가 (알고리즘 수행시간의 최선의 경우), 빅세타 (알고리즘 수행시간의 평균적인 경우) 등도 있음 O(1) 일 때 시간복잡도가 데이터의 input량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경우에 해당함 연산 횟수가 100이 되든, 100만이 되든 상관없이 그 연산이 데이터 수 N에 따라 달라지지 않으면 1로 봄 대표적으로 해시테이블이 있다, key-value 쌍으로 연결되어 바로 데이터를 불러오고 삽입 할 수 있기 때문 또한 arra..
해시(Hash)란?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 key-value 쌍으로 이루어져있고 검색, 저장이 매우 빠름, 키값이 배열의 인덱스로 바로 전환되기 때문 시간복잡도 O(1) 해시 알고리즘, 해시코드? 임의 크기의 데이터를 고정 크기의 데이터로 변경하는 알고리즘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key값을 해시코드로 변형함 Direct Addressing Table, Hash Table 같은 알고리즘이 있음 충돌이 났을 때 동일한 hash code로 생성이 된 경우 linked list를 생성하고, 그 안의 값들을 하나씩 조회하는 방식으로 해결 reference [1] : https://hsp1116.tistory.com/35 [2] : https://siyoon210.tistory.com/85
- Total
- Today
- Yesterday
- computer science
- 백준10828
- 코딩연습
- 기술면접질문
- 백준
- Process vs Thread
- Memory
- heap
- 카드구매하기
- Stack
- operation System
- dynamic programm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